상주 함창읍의 역사를 반영한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싶어요. 상주와 문경 지역에 시멘트 산업이 번성했던 1960~70년대에는 대한콘크리트 공장이었고 2000년대 초에는 숯가마 찜질방이 들어섰던 장소거든요. 찜질방 폐업 후 10여 년간 방치되던 것을 가족과 친구들과 2년간 직접 리모델링했어요. 지금은 1000년 역사의 함창명주를 소개하고 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.
상주에 터를 잡게 된 계기가 있나요?
함창이 제 고향이에요. 어릴 적엔 너무 조용한 동네라 빨리 벗어나고 싶었는데, 학업과 일 때문에 서울과 호주 등 여러 도시를 경험하다 보니 오히려 이곳의 정적인 매력, 여유로운 삶의 밀도 같은 것이 다시 눈에 들어오더라고요. 마침 그 시기에 2019년 경상북도에서 시행한 ‘도시청년 시골 파견제 1기’ 지원사업을 알게 되었고, 그 계기로 고향에 내려오게 되었어요.
명주정원을 오픈하기 전에 무슨 일을 했는지도 궁금해요.
호주에서 외식경영(Hospitality Management)을 전공했어요. 학교를 다니며 공간 구성, 운영 관리, 식음료 기획, 고객 응대 등 전반적인 경영 감각을 익혔죠. 졸업 후에는 현지에서 셰프로 일했어요. 브런치 카페와 레스토랑 키친에서 다양한 메뉴를 개발하고, 매장 운영 경험도 쌓았죠. 그때의 경험이 명주정원을 운영하는 데 굉장히 중요한 밑거름이 됐어요. 이곳을 찾은 이들에게 좋은 메뉴를 제공하는 것 못지 않게 어떤 리듬과 감각을 느끼도록 할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거든요.
호주에서의 삶이 명주정원에 영감을 주기도 했나요?
호주 사람들의 여유로운 일상과 공간을 향유하는 태도에서 영감을 많이 받았죠. 거창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고 편안한 공간이 오래 사랑받는다는 걸 알게 되었거든요. 호주와 상주는 어떤 면에서 참 닮아 있어요. 물질적 여유가 아닌 마음의 여유를 챙기는 사람들의 태도도 그렇고, 운전할 때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넓은 들판도 비슷하거든요. 명주정원에도 그처럼 자연스럽고 여유로운 삶의 태도를 담고 싶었어요. 전통을 억지로 강조하거나 무겁게 풀기보다 은은하게 스며들기를 바란 것도 비슷한 맥락이죠.